통일부 “남북 간 장기간 연락 중단 유감…정상화 촉구”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 참석해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총회 계기 통일부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일부가 북한에 “남북연락 채널을 하루빨리 복구하라”고 촉구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2일 ‘남북 연락채널 복구에 대한 통일부 입장’을 통해 “4월7일 북한의 일방적인 통화 불응 이후 남북 간 통신·연락 중단 상황이 210일째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며 “북한은 긴급 상황들에 대한 상호 조치를 해 나갈 수 있도록 하루빨리 연락채널을 복구하고 정상화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4월7일부터 현재까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남측의 정기통화 시도에 답하지 않고 있다. 남한은 최소한의 소통 창구를 열어두자는 차원에서 북한 응답 여부와 관계없이 매일 개시 및 마감 두 차례 통화를 걸고 있다.
구 대변인은 “10월 29일 동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 표류한 북한 선박 구조 사례에서 보듯이 연락채널은 해상에서의 선박 조난,통일부남북간장기간연락중단유감정상화촉구 재난·재해 등에 따른 통보와 협의에 필수적인 채널로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중단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이는 우리뿐 아니라 북한 주민들의 생명과 안전과도 직결되는 것인 만큼, 남북 간 연락채널 유지는 인도적 사안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합동참모본부(합참)는 NLL 이북 약 3㎞ 해상에서 구조를 요청하며 표류 중이던 북한 선박을 포착해 인도적인 지원을 했다고 밝혔다. 탑승자들은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당일 밤 북한 측이 다른 선박을 이용해 해당 선박을 예인해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런 촉구를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우리 해군이 유엔사와 국제상선통신망을 통해서 북측에 이상을 알리려고 시도했지만 정상적 소통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런 상황이 재발하면 북한 주민 문제도 있고 역으로 생각하면 우리 국민 안전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어서 이번 계기에 입장문을 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下一篇:Yoon’s chief economist tapped as finance minister
相关文章:
- Rural development expert nominated as agriculture minister
- 북·러 또 무기거래? "나진항에 석달새 대형선박 18척 드나들어”
- Spicing up the world: Samyang’s Buldak series makes global waves
- Former head of Jogye Order dies in temple fire
- Rural development expert nominated as agriculture minister
- [New in Korean] 'BU Care Insurance' protects hearts after breakups
- CHA to expand assistance for buried cultural heritage excavation
- Former divas return as Golden Girls
- [Korea Beyond Korea] Korean Studies gaining traction at Complutense University of Madrid
- Remaining BTS members to begin military service next month
相关推荐:
- [Hello Hangeul] Inside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in Madrid
- Seoul shares open higher on Fed's rate pause hopes
- NewJeans, Seventeen, BTS win top honors at 2023 MAMA Awards
- Insurance firms' net income jumps over 47% on
- Inaugural Korea Picture Book Award honors Kim Jung
- '12.12: The Day' surpasses 4m ticket sales on 12th day of release
- [KH Explains] KG Mobility looks to turn to annual profit for 1st time in 7 years
- [Global Finance Awards] Shinhan chief makes big ESG push
- Rural development expert nominated as agriculture minister
- As streaming services raise fees, some turn to illegal streaming sites
- Schools brace for impact of record
- [Herald Review] Munich Philharmonic sets milestones with Lim Yun
- Korean War veteran’s daughter named veterans affairs minister
- Seoul shares end higher on Fed's rate cut hopes
- 이재명 "여·야·정 정책협의체 제안…간병비 급여화 서둘러야"
- [Hello Hangeul] Inside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in Madrid
- Hanwha inks $2.6b deal to ship more K9 howitzers to Poland
- P1Harmony expands reach in US with iHeartRadio Jingle Ball Tour
- Province office raided in probe into wife of opposition leader
- 홍준표 "혁신위 해체위기, 이준석은 앞길 막아…용산 어쩌나"
- S. Korean literary giant Hwang Sok
- 한·미 북핵 대응 전략 10년 만에 다시 쓴다
- S. Korea, US defense chiefs discuss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on N. Korea
- Weak won pushes import prices up in October
- ‘Believer 2’ returns as 'midquel' with new characters, stronger plot
- LG Twins crowned champions for 1st time since 1994 as S. Korean baseball season ends
- 19 S. Koreans held captive in Myanmar freed: ministry
- Fifty Fifty’s Keena to attend 2023 BBMAs
- Seoul hosts ICC seminar highlighting role of Asia
- Business groups condemn labor union immunity bill